프리미엄 감성과 혁신의 쿨링 팬 리안리 UNI FAN SL WIreless REVIEW / 01-22
"본 리뷰 콘텐츠는 서린씨앤아이를 통해 제공받은 제품을 어떠한 개입이나 제약 없이 소개하였음을 밝힙니다."
PC 빌드를 진행하다 보면, 수랭 쿨러나 케이스 팬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PC 케이스가 빌드의 출발점이라면, 쿨링 팬은 내부를 멋지게 연출하는 감성적 요소이자 주요 부품의 성능을 보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리뷰에서 소개할 제품은 리안리 UNI FAN SL WIRELESS입니다. 기본 성능은 물론, 세련된 디자인과 뛰어난 연결성을 갖춘 완성도 높은 쿨링 팬으로, 하이엔드 PC 빌드를 계획 중이라면 검토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제품입니다.
01 패키지
리안리 UNI FAN SL Wiress 라인업은 크게 LCD 버전과 일반 버전으로 구분되며, 각 버전은 정방향 브레이드와 역방향 브레이드로 나뉩니다. 또한, 3년 보증의 모든 라인업은 3팩 구성과 1팩 단일 구성으로 제공되어 사용자 환경에 맞춰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조합할 수 있습니다.
| 3팩 구성품 | 쿨링 팬 3개 | L-Wireless 컨트롤러 | 컨트롤러 추가 연결 케이블 | 무선 리시버 1개 | SATA 연결 케이블 | 체결 나사 12개
그동안 리안리에서 선보였던 UNI FAN 시리즈는 메인보드의 USB 2.0 포트와 외부 전원을 연결해야 하는 전용 컨트롤러를 사용했지만, 이번 Wireless 제품은 무선 리시버를 통해 L-Connect 3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리안리 유니팬의 기본 연결에 필요한 컨트롤러는 3팩 구성에만 제공되므로, 스타터 팩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1팩 구성품 | 쿨링 팬 1개 | 무선 리시버 1개 | 체결 나사 4개
추가 구성을 위한 1팩에는 쿨링 팬 1개와 무선 리시버 1개가 제공됩니다. L-Wireless 컨트롤러는 필수이므로 기본 3팩을 우선 구매한 후, 전체적인 쿨링 팬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추가 팬은 3팩보다 1팩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격 면에서 더 유리합니다.
LCD와 일반 버전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지만, 무선 리시버의 형태가 약간 다릅니다. LCD 버전은 쿨링 팬의 동작을 위한 PWM 커넥터 외에도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므로 USB 커넥터가 포함된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두 종류의 팬을 함께 연결할 경우 USB가 포함된 커넥터를 사용해야 하며, 여러 팬을 설치하면서 커넥터를 바꾸어 연결할 수 있으므로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02 외형 및 스펙
| LCD 일반 버전 기본 스펙 | 사이즈 124.5mm x 120mm | 두께 28mm | 속도 350 ~ 1900 RPM | 최대 풍량 50.08 CFM | 최대 풍압 2.4mmH₂O | 최대 소음 29.5dBA | FDB 베어링 | 3년 워런티
리안리 UNI FAN SL Wireless LCD는 LED를 제외하면 TL LCD 제품과 유사하며, 일반 버전은 기존 SL 버전의 디자인을 그대로 계승한 듯한 느낌입니다. LCD, 일반, 정방향, 역방향 팬의 스펙은 구조적인 특성상 모두 다르지만, 최대 RPM 구간을 제외하면 PWM 중부하 범위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기존 UNI FAN SL V2와 잠시 비교해 보면, 히든 스크류 고무 덮개에서 외형적인 차이가 보이지만, 팬 주변과 테두리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LED가 40개로 대폭 늘어나 RGB 감성 연출이 한층 더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개의 접점을 통해 각 팬과 무선 리시버가 연결됩니다. 장착 방식은 기존 제품과 유사하지만, 무선 리시버는 기존 제품의 컨트롤러 연결 케이블보다 훨씬 더 단단하게 고정되는 느낌을 줍니다.
LCD와 일반 버전 조합으로 최대 4개까지 연결할 수 있으며, LCD 팬으로만 구성할 경우 최대 3개까지 동시 연결이 가능합니다. 각 끝단은 무선 리시버를 통해 연결해야 하며, 클러스터에 LCD 버전이 포함될 경우 USB 커넥터가 포함된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USB 무선 컨트롤러로 최대 10개의 클러스터 채널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빌드 셋업에서는 전면(측면), 후면, 상단, 하단의 4개 레이아웃을 고려할 수 있으며, 후면에 1~2개의 팬을 사용할 경우 메인보드 PWM 헤더의 전압으로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나머지 레이아웃의 팬은 전압이 부족할 경우 3팩에 포함된 SATA 케이블을 통해 최대 3개의 클러스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03 설치
설치 방식은 기존 유니팬 제품과 상당히 유사하지만, 유선 컨트롤러 대신 무선 L-Wireless 컨트롤러를 사용하며, 메인보드 특성에 따라 각 클러스터를 PWM에 연결하거나 SATA 전원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메인보드 후면에 무선 컨트롤러를 연결했고, 하단의 3개 팬은 메인보드 PWM에, 나머지 팬은 SATA 전원을 사용했습니다. 설치 완료 후 연결된 PWM 헤더의 부하를 최대로 높이는 것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메인보드에는 USB 2.0 내부 헤더가 2개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개 이상의 LCD 제품 클러스터 구성에서 SL Wireless LCD와 LIAN LI Hydroshift LCD 같은 USB 헤더 연결이 필요한 수랭 쿨러를 함께 사용할 경우 LIAN LI PW-U2HB USB 2.0 헤더 1 to 3 케이블이나 LIAN LI EDGE 파워의 USB 허브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무선 리시버 케이블은 선 정리가 간편한 형태로, 시스템 팬은 물론 라디에이터 팬을 통해 쇼케이스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빌드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설치 과정에서 체감한 SL Wireless 제품은 기존 TL, SL, AL, SL-INF 제품과 함께 사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지만, Wireless 타입의 추가 에디션이 출시되어 함께 사용할 경우 컨트롤러 호환에 대한 걱정은 없을 것입니다.
04 RGB & LCD 연출
SL Wireless LCD의 디스플레이는 기존 TL LCD 제품에서 느꼈던 경험을 그대로 제공합니다. 리안리 유니팬은 각 에디션에 따라 쇼케이스 감성이 확연히 달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SL Wireless의 LED는 듀얼 방식으로, 서로 다른 ARGB 효과를 연출할 수 있어 감성의 완성도가 기대 이상으로 높습니다.
L-Connect3 프로그램을 통해 무선 컨트롤러와 리시버가 손쉽게 연결되며, 별도의 드라이버 없이 해당 프로그램 설치만으로 사용 준비가 완료됩니다. 설치 이후 펌웨어 업데이트가 진행될 수 있으며, 안내에 따라 몇 번의 클릭을 통해 손쉽게 진행됩니다. L-Wireless Fan Utility 항목을 통해 팬 그림의 안쪽 LCD를 누르면 스크린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고, 블레이드를 누르면 PWM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L-Wireless Fan Utility 항목에서는 기본적으로 세팅된 항목을 그대로 불러오거나 설정 아이콘을 통해 Fan/Pump Profile로 이동하여 상세한 팬 속도 조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P28 고성능 팬을 제외하면, 리안리의 모든 유니팬은 L-Connect 3 프로그램을 통해 RGB와 PWM 설정을 진행하며, 이번 SL Wireless 버전은 기존 설정 방법과 같이 간단하고 쉽습니다.
리안리 유니팬 SL Wireless 팬을 사용한 몇 가지 연출 예시입니다. ARGB 컬러 재현과 설정을 그대로 보여주기 위해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했고, 기존 유니팬 SL V2 대비 화려해진 LED와 듀얼 모드의 서로 다른 RGB 설정은 지금까지 체험하지 못했던 프리미엄 감성을 느끼기에 충분했습니다.
05 마무리
리안리 UNI FAN SL Wireless는 현시점에서 가장 진보된 쿨링 솔루션 중 하나로, 프리미엄 PC 빌드에 더할 나위 없는 최고의 선택입니다. 혁신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리안리는 기존 후발 주자들이 시도하지 못한 신선한 방식을 도입해 새로운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이번 리뷰에서 소개한 제품을 통해 그들의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제품의 가격대는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편이지만, 고급스러운 감성 아이템으로 완성도 높은 빌드를 원하는 마니아 라면 충분히 검토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단순히 쿨링 팬을 넘어 빌드의 완성도를 한 단계 높여줄 수 있는 프리미엄 제품이라는 점에서, 최고의 제품을 선호하는 PC 마니아 분들께 적극 추천해 드리며, 이상 리뷰를 마무리합니다.